[앵커]<br />계속되는 찜통더위에 그 누구보다 더위를 참기 어려운 사람들이 있습니다.<br /><br />바로 체온조절이 힘든 장애인들인데요.<br /><br />폭염 고통 때문에 에어컨을 틀면 요금 폭탄을 맞고, 그렇다고 견디기엔 너무나도 고통스러운 이들의 여름나기, 권남기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머리맡에는 에어컨이, 다리 아래엔 선풍기가 돌아갑니다.<br /><br />45살 김경수 씨는 15년 전 교통사고로 하반신이 마비된 뒤 체온조절이 어려워지면서 더위가 견딜 수 없는 고통이 됐습니다.<br /><br />[김경수 : 먹는 건 좀 건너뛸 수는 있잖아요. 한 끼 두 끼 정도는. 머리 아픈 건요. 이거는 1분도 못 넘겨요. 답답하니까 바로. 머리가 깨질 듯이 아프고 두통이 있으니까요.]<br /><br />참다 참다 아플 때만 에어컨을 틀었는데 누진제가 적용되면서 지난달 전기요금은 무려 24만 원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정부에서 주는 기초생활수급비로 살아가는 경수 씨에게는 한 달 수입의 10분의 1이 넘는 금액입니다.<br /><br />[김정환 / 김경수 씨 아버지 : 밥 한 끼 굶더라도 내야지 어떻게 해요. (에어컨) 안 켜놓으면 못 살아요. 살길이 없어요.]<br /><br />상황이 이렇다 보니, 냉방이 꼭 필요한 장애인 대다수는 고통을 참고 무더위를 견디고 있습니다.<br /><br />23년 전 옥상에서 떨어져 목 아래가 마비된 48살 이주연 씨는 요새 아예 얼음 주머니를 달고 삽니다.<br /><br />숨이 턱턱 막히면서 갈수록 몸 상태가 나빠지지만 전기요금 부담에 에어컨을 켤 엄두도 내지 못합니다.<br /><br />[이주연 : 정신이 아득해질 때가 있어요. 그럴 때 숨이 너무 턱턱 막히고 그러면 아이스팩으로 얼굴을 문지르고 팔을 문지르고 가슴도 문질러주고….]<br /><br />하지만 이처럼 더위에 고통받는 장애인들이 받을 수 있는 전기요금 할인은 한 달에 8천 원이 전부입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겨울철, 취약계층에 등유 이용권 등을 지원하는 이른바 '난방 바우처'처럼, 여름에도 '냉방 바우처'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계속됩니다.<br /><br />[박종인 / 서울 중구 장애인 복지관 : (비장애인은) 땀이 정말 많이 나는구나 하고 끝나지만, (장애인) 상처가 벌어진다고 하면 이건 어떻게 보면 생명과도 연결된 (문제거든요)."<br /><br />최근 정부가 취약계층을 위한 '냉방 바우처'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나섰지만, 여전히 결론을 내지 못하면서 장애인들의 고통스러운 여름 나기는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권남기[kwonnk09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082404595930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